• 최종편집 2025-11-11(화)
 


주영한국문화원 특별문학대담에서 발언하는 수전최_주영한국문화원 제고.jpg

 

주영한국문화원(원장 선승혜)은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과 함께 ‘2025 K-북 해외 홍보·교류 사업’의 일환으로, 부커상 최종 후보에 오른 한국계 미국 작가 수전 최(Susan Choi)를 초청해 11월 9일(일) 런던 주영한국문화원에서 특별 문학 행사 ‘문학의 오후(Afternoon with Susan Choi)’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부커상 최종 발표를 하루 앞둔 시점에 열려 문학계와 독자들의 큰 관심을 모았다. 사회는 펭귄랜덤하우스 소속 시인이자 편집자인 사라 하우(Sarah Howe)가 맡았으며, 수전 최의 최신 장편소설 『플래시라이트(Flashlight)』를 중심으로 작가의 창작 세계와 기억, 정체성, 윤리의 문제를 깊이 있게 탐구하는 대담이 진행됐다.


소설 『플래시라이트』는 20세기 한국과 일본, 미국을 배경으로 복합적인 국제관계 속에서 인간이 겪은 상처와 기억을 그린 작품으로, 출간 직후 세계 문학계의 주목을 받으며 부커상 최종 후보에 올랐다. 수전 최는 행사에서 “이 소설을 쓰기 위해 한국의 역사와 유산을 오랫동안 탐구했다”며 “복합적이고 다층적인 기억의 구조가 바로 이야기에 생명력을 부여한다”고 밝혔다.


특히 ‘기억과 정체성’의 주제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으며, 수전 최는 “기억을 재구성하는 행위는 단순히 과거를 복원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어떤 윤리로 현재를 살아가야 하는지를 묻는 과정”이라고 강조했다. 또 ‘분노를 글로 표현할 때 어떤 마음으로 임하느냐’는 질문에 “분노는 감정의 폭발이 아니라 상처를 언어로 전환함으로써 글쓰기의 치유력을 드러내는 과정”이라고 답해 청중의 깊은 공감을 이끌어냈다.


행사에서는 『플래시라이트』 속에서 이름, 언어, 표지판과 같은 문자적 이미지가 정체성과 기억의 미로 속에서 섬세하게 작동하는 문학적 장치로 평가되었으며, 언어가 존재와 상처의 기억을 드러내는 매개체로 확장되는 지점이 주목받았다.


선승혜 주영한국문화원장은 “『플래시라이트』는 지정학적·역사적 서사가 한 개인의 기억으로 다시 쓰이는 과정을 통해 예술로 승화된 ‘기억의 유산’”이라며 “한국 현대사의 격랑을 세계 문학의 언어로 승화시킨 작가를 직접 만난 뜻깊은 자리였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영국 문학계 인사와 독자, 출판 관계자들이 참석해 활발한 토론이 이어졌다. 런던정경대학(LSE)의 유영진 교수는 “글의 속도감이 빠르거나 느려도 결국 앞으로 나아간다는 점이 인상적”이라고 평했으며, 뉴욕타임스 런던 지국의 알렉스 마셜은 “수전 최는 『플래시라이트』에서 역사와 허구를 넘나들며 인간의 생존과 기억의 이유를 문학적으로 형상화했다”고 평가했다.


한편, 1969년 제정된 부커상(Booker Prize)은 영어로 쓰인 최고의 장편소설에 수여되는 국제 문학상으로, 수상작은 세계 문학계와 출판시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올해 부커상 수상작 발표는 11월 10일(월) 영국 현지 시간 오후 9시 30분에 진행될 예정이다.


주영한국문화원은 앞으로도 한국문학을 비롯해 세계 문학의 주요 흐름을 함께 조명하는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해, 문학을 통한 문화 교류와 감성의 확장을 적극적으로 이어갈 계획이다.

KIN.KR 2025-11-11 16:42:45
태그

BEST 뉴스

전체댓글 0

  • 04029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런던서 열린 ‘수전 최와의 문학의 오후’… 한국문학 세계화의 또 다른 장을 열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