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프레미아(대표이사 김재현, 유명섭)가 오는 3월 1일부터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의 난기류 인식 플랫폼(ITA, IATA Turbulence Aware)을 도입한다고 24일 밝혔다. 최근 기후 변화로 인해 항공기 운항 중 예상치 못한 난기류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에어프레미아는 보다 실시간으로 정확한 정보를 확보해 승객과 승무원의 안전을 한층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난기류 인식 플랫폼은 현재 전 세계 25개 항공사, 약 2,600여 대의 항공기가 사용하고 있으며, 항공기에서 수집한 난기류 정보를 실시간으로 플랫폼에 전송해 객관적인 수치로 변환한 뒤 회원사들에게 공유하는 시스템이다. 기존에는 기상 예보를 기반으로 난기류 정보를 사전 예측하는 방식이었지만, 이 시스템을 통해 항공기 운항 중 실시간으로 난기류 데이터를 확인하고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전한 항로 확보는 물론, 불필요한 기체 흔들림을 최소화해 보다 쾌적한 비행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국내 항공사들이 경험한 난기류는 총 1만 4,802건으로, 이는 5년 전과 비교해 78% 증가한 수치다. 최근 들어 예측이 어려운 청천난기류(CAT, Clear Air Turbulence) 발생 빈도도 높아지고 있어, 기상 변화에 더욱 신속하고 정밀한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에어프레미아는 ITA 플랫폼을 활용해 기상 예보와 실제 발생 난기류 간의 차이를 줄이고, 예보되지 않은 난기류에도 실시간으로 대응함으로써 승객과 승무원의 안전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에어프레미아는 이와 함께 비행 전 운항 승무원과 객실 승무원이 참여하는 통합 브리핑을 통해 난기류 정보를 사전에 공유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내 서비스 시점을 조정하는 등 보다 체계적인 안전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또한, GE 에어로스페이스의 비행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인 ‘세이프티 인사이트(Safety Insight)’를 도입해 운항 중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 요소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예방하는 등 종합적인 안전 강화 조치를 마련하고 있다.
고윤범 에어프레미아 안전보안실장은 “IATA의 표준화된 난기류 대응 프로그램을 도입함으로써 고객 신뢰도를 높이고, 보다 안전한 항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승객들에게 더욱 안전하고 쾌적한 비행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시에 싱콴(Xie Xingquan) IATA 북아시아 및 아태지역본부 부사장 역시 “에어프레미아의 ITA 플랫폼 도입을 환영하며, 이를 통해 난기류 회피 및 영향 완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에어프레미아의 항공기에서 수집된 난기류 정보 역시 플랫폼을 통해 다른 항공사들과 공유됨으로써 전체 항공 산업의 안전성과 승객 편의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에어프레미아는 ‘꼭 필요한 것만 담은 프리미엄 서비스로 사랑받는 항공사’라는 철학을 바탕으로, 고품질 서비스를 합리적인 가격으로 제공하는 국내 유일의 하이브리드 국적 항공사(Hybrid Service Carrier, HSC)다. 혁신적인 서비스와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높여가고 있다.
